목록작가 (15)
모험러의 책방
https://youtu.be/bg8w0GuODkg 레이먼드 챈들러가 말하는 작가가 되는 법, 혹은 글을 잘 쓰는 법. 모험러 2013/02/28 - 빅슬립(Big Sleep)
『장르 글쓰기 01: SF·판타지·공포』는 장르 문학계 고수들의 값진 조언으로 가득하다. 구체적인 작법에 관한 조언도 있지만, 장르 소설을 잘 쓰기 위해 필요한 핵심 자질들을 어떻게 북돋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가르침을 주고 있다. 이를테면, 백지 공포(작가의 장벽, writer's block)는 어떻게 극복할까, 착상은 어디서 얻을 수 있을까, 어떻게 해야 신비롭거나 무서울까, 생동감 있는 인물은 어떻게 창조할 수 있을까, 자료 수집은 어느 정도나 해야 하는 것일까, 편집자들은 원고의 몇 페이지나 읽고 계약을 결정할까, 장르의 클리셰는 얼마나 알아야 할까 등등. 이 책에 글을 남긴 수십 명의 현역 작가들은 모두 살벌한 경쟁을 뚫고 글쟁이로 살아 남은 자들이다. 그럼에도 이들은 말한다. 믿고 일을 맡길 ..
느리게 쓴다. 이것이 저자 루이즈 디살보가 유명 작가들의 편지, 일기, 인터뷰 등을 조사한 끝에 내린 결론이다.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무기여 잘 있거라'의 결말을 47가지 버전이나 쓴 후에야 결정했다. 퓰리처상 수상자 마이클 샤본은 '텔레그래프 애비뉴'(Telegraph Avenue)를 완성하는 데 5년 가까이 걸렸다. 버지니아 울프는 하루 세 시간씩 글을 썼는데, 하루에 쓴 분량은 약 535자였다. 이는 창작 능력이 최고조로 달해 있을 때였다. 긴 말 할 것 없이 최고의 작가들이 글쓰기에 대해 어떻게 말했는지 보자. "예술의 대부분은 기교다. 기교를 배우려면 끈기 있게 시간을 버텨내는 인내가 필요하다."- 오르한 파묵(Orhan Pamuk) "하루에 두 페이지를 쓰면 주말 즈음에는 열 페이지가 되어 있..
글쓰기에 몰입된 상태의 그 독특한 감각. 그것을 몽유병 상태라 부르든, 최면 상태라 부르든, 명상 상태라 부르든, 알파파 상태라 부르든, 예술적 혼수 상태라 부르든, 그 상태로 쉽게 진입할 수 있고, 진입한 후에는 유지할 수 있으며, 빠져나와서는 비판적 자아를 작동할 수 있는 능력, 이것이 작가의 핵심 능력이라고 도러시아 브랜디는 『작가 수업』에서 말한다. 모든 작가들은 저마다 의식하지 못한 채로 자기만의 의식을 행하고 있다. 그 의식은 천차만별이다. 승마, 뜨개질, 카드놀이, 산책, 조각, 바닦 닦기···. 하루키의 의식은 아마도 마라톤과 영문 번역일 것이다. 공통점은 요행이든 계획된 것이든 마음의 수면 저 뒤편으로 스스로 빠져드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배울 수 있다. 습관으로 만들 수..
소설가를 꿈꾸는 사람은 읽어보지 않을 수 없는 책이고, 소설가의 정신 세계가 궁금한 사람도 읽어보지 않을 수 없는 책이다. 이 책은 소설가를 꿈꾸는 사람에게 좌절과 희망을 동시에 준다. 좌절은 소설가가 되는 건 운이라는 것이다. 타고나야 한다, 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그건 너무 운명론적인 느낌이 드니 일단 운이라고만 해두자. 하루키는 야구 경기를 보며 맥주를 마시다 생각한다. '그래, 소설을 써야 겠다.' 이것은 하루키 본인도 영어의 에피퍼니(epiphany)라는 단어를 빌려 말하는 바, 일종의 계시다. 사도 바울이 느닷없이 계시를 받아 사도의 삶을 살기 시작했듯, 하루키에게도 그런 순간이 찾아와 소설가의 삶을 시작한 것이다. 계시는 한 번으로 끝나지 않았다. 일종의 예언도 이루어진다. 생애 처음으로 ..
소설과 미드 으로 유명한 조지 마틴은 컴퓨터를 두 대 쓴다고 한다. 인터넷이 되는 컴퓨터와 인터넷이 되지 않는 DOS(와 DOS용 워드 Wordstar)가 깔린 컴퓨터. 그가 글을 쓸 때 쓰는 컴퓨터는 물론 후자다. 이것이 바로 조지 마틴 스스로 말하는 바 자신의 '비밀 무기'다.* 나도 진작에 그와 같은 생각을 해왔었지만 실천을 못하고 있었다. 이제 시도해볼 때가 되었다. 16/01/15 * The Guardian, 14 May 2014, "Is the internet an enemy of writers' creativity?"(인터넷은 작가 창의력의 적인가?) 2015/04/07 - 글을 쓸 때 가장 중요한 것2014/02/16 - 창작자들의 보물2013/03/23 - 박민규 작가의 글쓰기
「진짜 저술가라면 누구나 자신보다 강한 다른 누군가가 자신의 손을 인도하는 듯한 창조의 순간을 알고 있다. 또한 진짜 웅변가라면 누구나 평소의 자기 자신보다 강한 뭔가가 자신의 입을 이용해 말하는 순간을 경험한다. 이것이 '영감'이다. 그것은 온 힘이 다 기울여진 최고의 창조적인 노력에서 태어난다. 무의식적인 것이 깊은 우물속에서 솟아올라 의식적인 정신을 자신의 의지에 종속시키고, 그것을 어떤 보다 큰 종합 속에서 자신과 융합시킨다.」* 15/10/29 * 트로츠키, , 박광순 옮김. 2015/08/31 - 끈질긴 작업만이 영감을 싹 틔운다 2013/06/03 - 아마추어와 프로
「고이티솔로와 데리다의 메시지는 뮈세의 메시지와는 사뭇 다르다. 이 두 소설가와 철학자는 공히 위대한 예술에는 그 어떤 고국 땅도 없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오히려 정반대로 예술가와 마찬가지로 예술은 수많은 고국 땅, 가장 틀림없는 사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국 땅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비결은 집 없음이 아니라, 많은 집들을 내 집으로 삼는 것이며, 그 각각의 집 안팎에 동시에 있는 것이며, 친밀함과 외부인의 비판적 시선을 결합하는 것이며, 참여와 초연함을 결합하는 것이다. 이는 안착한 사람들이 도저히 배우기 어려운 기술이다. 이 비결을 터득하려면 망명의 가능성을 가져야 한다. 엄밀히, 안에 있으되 그곳에 속하지는 않는 식의 망명 말이다. 이 상황이 초래하는 '국한되지 않음'..
「만약 여러분이 '실제 세계'의 진실을 찾고자 한다면, 카프카, 무질, 보르헤스, 페렉, 쿤데라, 우엘벡 등에게서 힌트를 얻는 것이 최선의 선택일 겁니다. 실험관 속에서 배양되고 길러진 소인들(homunculi)의 불확실한 가정들로 가득 찬 '지식'은 별 도움이 안 될 겁니다. 그리고 만일 여러분이 독자들과 함께 호흡하고자 한다면, 자신만의 메시지를 갖고 말을 건네야 합니다. 독자들이란 '세계-내-존재'로서 자신만의 삶의 진리를 찾고자 애쓰며, 세상으로부터 숨겨진 혹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거나 간과했거나 무시하고 지나쳤던 통찰들을 배우고자 하는 이들이지요.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자신의 경험을 표현할 수 있는 적확한 언어를 찾는 것이며, 그 경험과 관련이 있거나 유사한 주제들에 천착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소..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세계를 맹목적인 암흑의 세계라 단정 지을 때, 그 속에서 변화의 가능성을 주장하는 이들은 그 존재만으로도 최고의 가치를 지닌다."* - 엘리아스 카네티, 『말의 양심』 중 「작가의 사명」 15/08/06 * 인디고 연구소(InK) 기획. (2014). 희망, 살아 있는 자의 의무: 지그문트 바우만 인터뷰. 서울: 궁리. 에서 재인용. 2015/08/05 - 역사는 사전에 기획될 수 없지만 새로운 싹은 자라고 있다 2015/07/26 - 이론적 희망은 희망일 뿐이지만, 근거 없는 희망을 추구해보고 또 다른 시도를 해봐야 한다 지그문트 바우만
「에서 좋은 설문 조사를 하나 했다고 한다. 엘모어 레너드(Elmore Leonard)의 『글쓰기의 10가지 규칙』(10 Rules of Writing)에서 영감을 받아 영어권 작가들에게 글을 쓸 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팁이나 규칙이 무엇인지를 물어보았다는 것이다. 설문 조사에 응한 로디 도일(Roddy Doyle)은 '웹사이트는 하루에 정해 둔 몇 군데만 접속할 것! 자료 조사를 위해 정말 필요할 때를 제외하고는 평소 좋아하는 웹사이트 근처에 접근도 하지 말 것!'을 자신의 우선순위로 꼽았고, 재디 스미스(Zadie Smith)는 자신의 7번째 규칙을 '인터넷 설치가 안 된 컴퓨터로 작업할 것!'으로 꼽았다. 조너선 프랜즌(Jonathan Franzen)은 "인터넷 설치가 되어 있는 컴퓨터로 작업..
"훌륭한 작가는 3퍼센트의 재능이면 충분하다. 그리고 97퍼센트는 인터넷에 휘둘리지 않는 능력이다."* - 사이러스 파리바르 15/04/05 * 크리스토프 코흐. (2011). 아날로그로 살아보기. (김정민, Trans.). 율리시즈. 2015/02/13 - 작가는 그냥 쓴다 2014/02/16 - 창작자들의 보물 2015/04/07 - 글을 쓸 때 가장 중요한 것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푸코의 진자』는 자료를 찾고 쓰는 데 8년이 걸렸지요. 제가 뭘 하는지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기 때문에 거의 10년간 저 자신의 세계 속에서 살았던 것 같네요. 밖으로 나가서 차와 나무를 보고는 중얼거립니다. 아, 이것도 내 이야기와 연결될 수 있겠구나라고요. 그런 식으로 제 이야기가 매일매일 자라납니다. 그리고 제가 하는 모든 일, 삶의 작은 파편들, 모든 대화들이 아이디어를 제공해줍니다. 그러고나서 제가 소설에서 등장시킨 장소인 템플기사단이 있었던 프랑스와 포루투칼의 실제 지역을 방문했답니다. 그러면 소설 쓰기는 제가 전사가 되어 일종의 마법의 왕국에 들어가는 비디오게임처럼 됩니다. 단지 비디오게임에서는 완전히 게임에 빠져 도취되는 반면에, 소설을 쓸 때는 언제나 달리는 기관차에서 뛰어내리는 비판적..
「네드는 시인과 단편소설 작가가 되고자 했다. 아니, "-되고자 했다"는 적합한 단어가 아니다. 네드가 한번 말했듯이, 재능을 지닌 사람은 작가가 되려고 '의도'하지 않는다. 재능은 있거나 없거나 둘 중 하나일 뿐이다. 재능이 있는 자는, 그냥 쓴다, 없는 자는, 그러고 싶어한다. 네드는 언제나 썼다.」* (He intended to be a poet and short-story writer. No, "intended" isn't the right word. As Ned explained it once, people with talent don't intend to be writers. Either you have it or you don't. Those who have it, write, and tho..
왜 글을 쓰는가? 메러디스 매런이 엮은 *에 기고한 작가들은 하나같이 말한다. 쓰지 않을 수가 없어서 쓴다고. 마치 숨을 쉬지 않을 수 없는 것처럼. 그들은 다들 엄청나게 성공한 작가들이었지만, 성공하든 성공하지 못했든, 글 쓰는 일이 즐겁든 괴롭든, 환경이 좋든 나쁘든, 그들은 끊임없이 글을 썼고 또 앞으로도 쓸 것이다. 그들은 그냥 쓴다. 15/02/13 * 메러디스 매런 편저, 2013/06/03 - 아마추어와 프로 2013/12/02 - 그냥 하라 2014/09/02 - 그냥 하자 2015/02/13 - 작가는 그냥 쓴다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