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뉴턴 (4)
모험러의 책방
「찰스 다윈은 비글호 항해를 마친 후, 준비하고 있는 책에 싣기 위해 방대한 자연선택 원리를 개괄하고 있었다. 그런데 원고가 거의 완성될 무렵에 그늘 앨프레드 러셀 월리스(Alfred Russel Wallace)가 몇 년 전 인도네시아에서 말라리아열에 걸렸을 때 독자적으로 같은 개념을 발견했음을 알리는 편지를 받았다. 사람들은 수천 년 동안 동물과 인간의 관계를 그려보고 생각해왔는데, 생물들의 관계를 드러내는 기본 원리 중 하나를 서로 독자적으로 일하는 두 사람이 어쩐 일인지 이제야 거의 동시에 발견한 것이다.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Gottfried Leibniz)와 아이작 뉴턴(Issac Newton)도 거의 동시에 서로 독자적으로 미적분을 발견했다. 엘리샤 그레이(Elisha Gray)와 알렉산더 그..
「(화이트헤드) "뉴턴의 『프린키피아』가 최종적인 것이 아닌 것처럼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원리도 최종적이라고 생각해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 위험한 것은 독단적 사고입니다. 그것이 종교를 타락시킵니다. 과학도 예외가 아닙니다. 아시다시피 나는 철저한 진화론자입니다. 수억만 년 전에 지구가 냉각하기 시작하고 가장 단순한 형태로 생명체가 태동하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이 대체 어디서 왔을까요? 그것은 사물의 전 체계 내에 내재해 있었을 것입니다. 그것은 불을 이루고 물을 이루고 지구를 이루는 극미한 입자 내에 가능태로 존재했을 것입니다. 우리 몸 크기를 물리적 측정 단위의 출발로 삼는 것은 얼마나 어리석은 생각입니까?" 리빙스턴이 그리스어로 인용하면서 말했다. "'인간이 만물의 척도'라는 과장된 생각이지요." 화이트..
「물리학에 적용된 데카르트적 주관주의는, 사물이 단지 외적 관계만을 갖는 개체적 존재라는 뉴턴의 가설이 되었다. 우리는 데카르트가 물체의 원초적 속성으로 기술했던 것이 실제로는 현실적 계기들 간의, 그리고 현실적 계기들 내부의 내적 관계의 형식이라고 보기 때문에 그와 의견을 달리한다. 이러한 사고의 변화는 물리학의 기초가 되는 사상의 전환, 즉 유물론으로부터 유기체론으로의 전환이다. 물리학의 언어로 말하면, 유물론으로부터 '유기체적 실재론'(organic realism)으로의 변화는 정태적인 물질이라는 개념이 유동적인 에너지라는 개념으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에너지는 작용과 유동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구조를 떠나서는 이해될 수 없다. 이는 또한 '양자'(量子)의 요건들로 조건지어져 있다..
「1696년 스위스의 수학자 장 베르누이가 동료 수학자들에게 그 당시까지 미해결로 남아 있던 최속 강하선의 문제를 도전형식으로 제시했다. 이 문제는 연직면 위의 두 점이 서로 떨어져 있을때, 한 물체가 윗점에서 아랫점까지 오직 인력의 영향으로 떨어져 내려간다면 어떤 형태의 곡선 경로를 따라야 가장 짧은 시간에 강하할 수 있는가를 묻는 문제였다. 베르누이는 본래 마감일을 6개월 후로 잡았다. 하지만 라이프니츠의 요청에 따라 1년 반으로 연장했다. 라이프니츠는 당시의 선구적인 학자로서, 뉴턴과는 독자적으로 미분법과 적분법을 발명한 수학자이다. 도전장이 뉴턴에게 전달된 시각은 1697년 1월 29일 오후 4시. 그때부터 그 다음 날 아침 출근 전까지, 뉴턴은 변분법이라는 전혀 새로운 분야의 수학을 발명했고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