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허위 (3)
모험러의 책방
「전자 기기의 경우와 달리, 한 인간에 대한 한 인간의 사랑은 헌신, 위험 감수, 자기희생의 의지를 의미한다. 그것은 불확실하고 지도에도 없는 거칠고 울퉁불퉁한 길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사람과 삶을 공유하고자 하고 그렇게 하기로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랑은 밝은 행복과 함께 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안락과 편의와는 함께 할 수 없다. 사랑은 안락과 편의에 대한 확신은커녕··· 안락과 편의에 대한 자신 있는 기대조차 가질 수 없다. 사랑은 당사자에게 그의 능력과 의지를 최대한 발휘할 것을 요구하며, 그렇게 해도 실패할 수 있고 그의 부족함이 드러날 수 있고 자존심에 상처를 입을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살균되고 주름하나 없이 매끈하고 고통도 위험도 모르는 전자 공학의 산물들은 결코 사..
「"학문의 민중화"에서 문제의 핵심은 한완상이 미시이론의 성찰적인 해석능력이 있는 일상 행위자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개념화하고, 과연 그들의 능력과 의견을 이론적 차원에서 얼마나 '존중'하는가이다. 한완상은 세계에 대한 일상인의 해석에 관심을 기울인다 해서 사회학자가 "일상적 민중에게 '인식론적 특권'을 자동적으로 인정할 수는 없고" 오직 "그들이 원칙과 이상의 실현을 위해 노력할 때 그들에게 인식론적 특권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원칙과 이상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민중은 누구란 말인가? 한완상의 글에서 전혀 답을 찾을 수 없지만, 내 나름대로 유추해본다면 슈츠가 언급한 대로 일정한 교육을 받고 사회문제 전반에 관심을 가지며 자기 행동을 책임질 수 있는 이른바 "교육받은 시민"이 '성찰적 민..
「연구자들이 "권위주의적 인성"(authoritarian personality)이라고 부른 인간형은 이후 수많은 연구에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인간형은 아버지의 권위가 매우 강하고 엄격한 가정에서 길러진다. 권위적인 가정에서 부모는 자식의 반항심 표출을 엄하게 꾸짖으며, 어떤 형태의 성적 호기심도 인정치 않는다. 반항심과 성적 호기심은 인간 생활에서 피할 수 없는 측면이다. 권위주의적 인성은 달갑지 않은 공격성과 성적 관심에 대해 프로이트가 투영(투사: projection)이라 부른 수단을 통해 대처한다. 일상 생활에서 고통스런 기억을 지워 버린 마리골드 린턴과 마찬가지로, 권위주의적 인성은 그것을 일부러 의식에서 배제한다. 과거의 월급이나 습관을 잘못 기억하는 사람들처럼, 권위주의적 인간형은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