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험러의 책방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의 법칙은 정확히 무엇인가 본문

기타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의 법칙은 정확히 무엇인가

모험러

「신좌파 프로젝트(New Left Project)의 편집자가 "자본주의 위기: 하비 대 마르크스"의 Part 3( http://newleftproject.org/…/harvey_versus_marx_on_capitalis…)에 관해 질문을 해왔다. 


질문은 다음과 같다. 내(클라이먼) 대답은 그 아래 제시한다.


질문:

아래와 같이 관련되지만 서로 다른 주장들이 뒤섞여 제기되는 것 같다.


1.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의 법칙은 자본주의 위기의 유일한 원인(only cause)이다.

2.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의 법칙은 자본주의 위기의 근본 원인(primary cause)이다. 

3.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의 법칙은 2007-8년 대불황의 중요한 원인(significant cause)이다.

4.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의 법칙이 존재한다. 즉, 자본주의하에서 이윤율이 일반적으로 떨어지는 경향이 존재한다. 

5.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의 법칙은 여러 경향과 반경향 중 하나이다. 그것은 각 위기의 주요 원인(primarily)일 수도, 부차적 원인(secondarily)일 수도, 아예 위기의 원인이 아닐 수도 있다. 


하비는 위 모두를 거부하거나, 법칙이란 지위를 부여하지 않는 때에만 아마 5번 정도에만 동의하는 것 같다.

당신(클라이먼)은 3, 4, 5번을 인정하는 것 같다.

마르크스는 4, 5번을 인정하는 것 같다.

맞는가?


내(클라이먼) 대답:


내 생각에는 우선 다음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a) 이윤율의 저하

(b)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

(c) 이 경향을 정확히 설명하는 법칙(예, 노동절약적 기술 변화로 인해)


이 구분에 따라 아래와 같이 질문을 재구성하는 것이 나을 것 같다.


1'. (a)가 자본주의 위기의 유일한 원인이다.

2'. (a)가 자본주의 위기의 근본 원인이다.

3'. (a)가 2007-8년 대불황의 중요한 원인이다.

4'. (b)는 사실이다. 즉, 자본주의하에서 이윤율은 일반적으로 떨어진다.

5'. (b)는 여러 경향과 반경향 중 하나이다. 그것은 각 위기의 주요 원인일 수도, 부차적 원인일 수도, 아예 위기의 원인이 아닐 수도 있다. 

6'. 마르크스의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의 법칙은 (c)다. 


내 생각에 하비는 이 모두를 거부한다. 내 생각에 그는 이윤율을 하락시키는 그 어떤 경향도 인정하지 않는다. 그는 (a)가 위기의 가능한 원인이고, 노동절약적 기술변화가 (a)의 가능한 원인이라는 것만 인정한다. 


마르크스는 1'를 거부한다. 2'에 관해서는, 내가 아는 한 마르크스는 근본 원인(primary cause)을 언급한 바가 없다. 당연히 마르크스는 3'에 대해서는 말한 바가 없다. 마르크스는 4'를 주어진 것으로, 즉 경험적 증거들로 보아 오랫동안 일반적으로 존재해온 널리 알려진 사실로 여겼다. 마르크스는 분명히 5'와 6'를 인정한다. 


나는 1'를 거부한다. 2'에 대해서 나는 불가지론자다. 3'는 인정한다, 그러나 나는 "중요한 기저 원인"(significant underlying cause)이라고 말하길 더 좋아한다. 4'와 5'에 대해서도 나는 불가지론자다. (b)가 만약 사실이라면, 나는 6'를 인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인정할 수 없다. 여기서 내가 '불가지론자'라고 말한 것의 의미는 나는 이것들을 아직 결정적 증거가 없는 경험적 가설로서 여긴다는 것을 말한다. 


내 생각에 마르크스의 법칙을 "법칙"으로 개념화하는데 엄청난 혼동이 존재한다. 내 입장은, 내 part 1에서 인용된 논문에서 주장했듯이, 마르크스가 "법칙"이라고 한 의미는 "경향을 설명하는 일반 원리"라는 것이다. 내 생각에 그의 텍스트는 이 점을 아주 분명하게 말했으나, 내 입장이 보편적인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몇 가지 이유로 많은 사람이 이윤율 법칙을 이윤율이 미래에 반드시 떨어진다는 주장에 관한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들은 4'를 주어진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마르크스는 4'를 주어진 것으로 여겼다. 어쨌든 내 생각에 하비는 내가 제시한 것과 매우 다르게 "법칙"이 함의한 정의를 다루고, 독자들에게도 같은 것을 기대하는 것 같다. 그러나 그가 그것을 명료하게 말한 바가 없으므로 더 이상의 논의는 매우 어렵다. 아마 서로 다른 관점을 갖고 있을 것이다.」*


* https://www.facebook.com/andrew.kliman.9/posts/10204302113009029 을 번역.


여담으로 Andrew Kliman, "The Failure of Capitalist Production"의 번역본 <자본주의 생산의 실패>의 번역 몇 가지를 지적해보자. (내가 틀릴 수도 있음.)


1) 'underlying cause'는 '근본원인'이 아니라 '기저원인' 정도로 번역되어야 한다.


2) p. 40. "그러나 만약 기술혁신이 정말 가격을 하락시키는 경향이 있다면, 이윤율은 진정으로 하락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에서 가격의 '하락'에 해당하는 원문 단어는 'depress'다. 클라이먼은 depress와 decline을 구분하고 있으며, 전자는 가격이 꼭 실제로 하락한다는 말이 아니다. 가격 상승률이 하락한다는 말이지. 따라서 '감속' 정도로 번역되어야 한다.


3) p. 181. "현재비용 '이윤율'은 현재 투자지출과 미래 수입 두 가지를 모두 평가하기 위해 현재 가격을 사용하는 반면, 이 수익성 척도들은 현재 투자지출을 평가하기 위해 현재 가격을 측정하지만 미래 수입을 계산하기 위해 미래 가격을 예상한다."


원문. p. 114. 「Whereas the current-cost "rate of profit" uses today's prices to value both current investment expenditures and future receipts, these measures use today's prices to value current investment expenditures but expected future prices to compute future receipts.」


(내 생각에 맞는 번역) -> "현재비용 '이윤율'은 현재 투자 지출과 미래 수입 둘 다를 평가하는데 현재 가격을 사용하는데 반해, [순 현재 가치와 내부수익률 같은] 수익성 척도들은 현재 투자 지출을 평가하는데는 현재 가격을 사용하지만, 미래 수입을 평가하는데는 [현재 가격이 아니라] 기대 미래 가격을 사용한다."


즉, 자본가들이 투자 확대/축소를 결정하는 것은 지난 번에 투자한 금액에 비해 앞으로 얼만큼 벌 것 같다는 예상(역사적 비용으로 계산된 기대값)에 의한 것이므로 현재 가격을 이용한 현재비용 '이윤율'은 미래 수입을 평가하는데 적절치 않다는 뜻.


참조:

Kliman, A. (2012). The failure of capitalist production: underlying causes of the Great Recession. London: Pluto Press.

클라이먼, 앤드루. (2012). 자본주의 생산의 실패: 세계대침체의 원인. (정성진 & 하태규, Trans.). 파주: 한울.


최근 이윤율 논쟁에 관심이 있다면 다음을 참조. 모두 구글 검색하면 나옴.


Harvey, D. (2015, March 30). Capital’s Nature—A Response To Andrew Kliman.

Kliman, A. (2015a, March 10). Harvey Versus Marx On Capitalism’s Crises Part 1: Getting Marx Wrong.

Kliman, A. (2015b, March 12). Harvey Versus Marx On Capitalism’s Crises Part 2: Getting Profitability Wrong.

Kliman, A. (2015c, May 13). Harvey Versus Marx On Capitalism’s Crises, Part 3: A Rejoinder.

Harvey, D. (2014, December). Crisis theory and the falling rate of profit. 

Roberts, M. (2014, December). Monomania and crisis theory – a reply to David Harvey.


15/11/17



모험러의 책방

서평, 리뷰, 책 발췌, 낭독, 잡문 등을 남기는 온라인 책방. 유튜브 채널 '모험러의 책방'과 ′모험러의 어드벤처′(게임) 운영 중.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