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의지력 (2)
모험러의 책방
「"우리 주의는 중독을 끊고, 자신의 소중한 가치와 목표를 위협하는 유혹을 물리치고, 끝까지 노력을 경주해 나가고, 인간관계를 계속 유지해 나가며, 자신의 이기적인 동기를 극복하고 다른 사람들을 생각하는 사람이 분명 있다. 이런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윌터 미셸) ... 마시멜로 과자 수백 개를 들여 실험을 한 뒤에, 미셸은 자제력의 비밀을 밝혀 나가기 시작했다. 윌리엄 제임스는 자제력을 인간성의 핵심 개념으로 생각했지만 20세기가 다 지나도록 주된 연구의 대상이 되지 못했었다. 한편 고대 그리스인에게는 충동성을 가리키는 말이 있었다. 바로 akarasia인데, 의지력 박약을 뜻하기도 한다. 마틴 셀리그먼(Martin Seligman)과 안젤라 리 덕워스(Angela Lee Duck..
니콜라스 카는 에서 인터넷이 우리의 뇌를 바꾸어 놓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는 클릭질에 중독되어 바보가 된다. 치밀하고 깊이 있는 생각을 할 수 있는 끈기가 사라지고 집중력이 약해진다. 클릭질이 주는 즉각적인 보상에 맞춰 뇌의 신경세포가 재구성되기 때문이다. 인터넷에 접속한 채로 무언가를 한다는 것은(일이든, 공부든, 대화든, 사랑이든) 온갖 유혹적인 음식을 곁에 두고 집중력을 유지하려는 것과 같다. 사랑은 대상에게 주의를 집중하는 힘이다. 집중력이 없으면 생각만 얕아지는 것이 아니라, 사랑할 수 있는 능력도 약해진다. 가장 좋은 대안은 지금 당장 랜선을 뽑아버리고 스마트폰을 팔아버리는 것이다. 그러나 불가피하게 인터넷을 이용하며 일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때 쓸 수 있는 대안을 소개한다. 지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