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험러의 책방

헛된 정열 본문

명문장, 명구절

헛된 정열

모험러

「필자는 20대 청년시절 남들처럼 청운의 뜻을 품고 유럽 벨지움 루벵 대학교에 유학을 떠났다. 그때가 60년대 초반이었다. 어렵고 까다로운 그쪽 대학의 시험에 실패하고 돌아올까봐, 또 부모님의 큰 기대에 실망을 인겨 드릴까봐 유학기간 내내 정말 한눈팔지 않고 주야로 공부에만 매진하였다. 공부 이외에 아무런 물질적 정신적 여유가 없었던 필자의 20대 젊은 시절의 미숙한 눈에 비친 서양의 모습은 그 당시의 우리와 비교하여 참으로 잘 사는 나라였다. 그때 필자는 경제적 콤플렉스를 심하게 느꼈다. 나는 가난한 나라의 백성이다. 그러나 우리는 문화적으로 동방의 문화민족이다라는 자부심은 있었다. 단지 전쟁으로 지금은 가난하지만, 언젠가 우리가 그 가난을 털고 일어서면, 우리도 유럽처럼 선진문화 민주주의의 국가를 경영할 수 있으리라 여겼었다.


'헛된 정열'이었다. 필자의 20대부터 지녔던 소박한 이데올로기가 '헛된 정열'이었다는 참담하고 쓰라린 경험을 안고 작년에 20년 전에 공부하던 그 루벵대학에 다시 공부하러 떠났었다. ······50대에 막 접어든 필자는 이번에 문화적 충격이랄까, 콤플렉스를 느꼈다. 이 문화적 콤플렉스가 무엇일까? 지금 말할 수가 없다. 오랜 세월 속에 축적된 과학지식에서의 평균적 역량과 아름다움을 생활 속에 자연화시키는 감수성의 질 ― 아름다움이 없는 도덕은 거치른 소음만을 낳는다 ― 이 없이는 선진문화 민주국가가 되기 어렵다고 여겨진다. 필자는 평화와 평안이 있는 곳을 찾으면서, 필자가 조용히 할 수 있는 바른 일은 과학지식의 축적과 감수성의 질을 닦아 나가는 것뿐이라고 생각된다.」*


- 철학자 김형효, 『구조주의의 사유체계와 사상』


15/07/24


* 김경만. (2015). 글로벌 지식장과 상징폭력: 한국 사회과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문학동네. 재인용.


모험러의 책방

서평, 리뷰, 책 발췌, 낭독, 잡문 등을 남기는 온라인 책방. 유튜브 채널 '모험러의 책방'과 ′모험러의 어드벤처′(게임) 운영 중.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