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권위주의 (2)
모험러의 책방
자각적 반성 -> 직업적 학문, 주체적 해방 -> 예속적 억압, 상호적 배려 -> 일방적 권위로 유교가 타락하는 과정은 기독교의 타락 과정과 유사해 보인다. 「기축시대 이후, 동서양의 정신의 영웅들은 모두 당대를 거슬러 또 다른 지평의 ‘현실’을 읽었던 사람들이다. 유교 또한 그러했다. 『논어』를 펼치면 공자와 그 집단이 당대의 상식과 이념과 투쟁하고 있는 생생한 기록을 만난다. 그런 점에서 유교는 본시 ‘순응적’이 아니고 ‘비판적’이다. 우리는 이때의 ‘도(道)의 기사도’들을 한 대 이후 형성된 제도화된 유교, 권력화된 유교와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 유교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들은 유학이 소집단의 유랑생활을 청산하고 권력과 제도의 주도권을 쥐게 되면서부터 생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교가 자각적 반성..
「연구자들이 "권위주의적 인성"(authoritarian personality)이라고 부른 인간형은 이후 수많은 연구에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인간형은 아버지의 권위가 매우 강하고 엄격한 가정에서 길러진다. 권위적인 가정에서 부모는 자식의 반항심 표출을 엄하게 꾸짖으며, 어떤 형태의 성적 호기심도 인정치 않는다. 반항심과 성적 호기심은 인간 생활에서 피할 수 없는 측면이다. 권위주의적 인성은 달갑지 않은 공격성과 성적 관심에 대해 프로이트가 투영(투사: projection)이라 부른 수단을 통해 대처한다. 일상 생활에서 고통스런 기억을 지워 버린 마리골드 린턴과 마찬가지로, 권위주의적 인성은 그것을 일부러 의식에서 배제한다. 과거의 월급이나 습관을 잘못 기억하는 사람들처럼, 권위주의적 인간형은 자..